- 風餐露宿
- (风餐露宿, 風餐露宿)
fēng cān lù sù【典故】 风里吃饭, 露天睡觉。 形容旅途或野外工作的辛苦。【出处】 宋·苏轼《将至筠先寄迟适远三犹子》诗: “露宿风餐六百里, 明朝饮马南江水。”
无非~, 不久便到了登州。 (清·刘鹗《老残游记》第一回)
Chinese idioms dictionary. 2013.
无非~, 不久便到了登州。 (清·刘鹗《老残游记》第一回)
Chinese idioms dictionary. 2013.
風餐露宿 — 풍찬노숙【風餐露宿】 〔바람을 피하지 못하고 이슬을 맞으면서 먹고 잔다는 뜻〕 객지에서 겪는 많은 고생을 이르는 말. ; [예문] 선생은 평생 동안 우국 일념(憂國一念)으로 풍찬노숙을 마다하지 않았다 … 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
風餐露宿 — 풍찬노숙【風餐露宿】 〔바람을 피하지 못하고 이슬을 맞으면서 먹고 잔다는 뜻〕 객지에서 겪는 많은 고생을 이르는 말. ; [예문] 선생은 평생 동안 우국 일념(憂國一念)으로 풍찬노숙을 마다하지 않았다 … 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
風餐露宿 (풍찬로숙) — 큰 뜻을 이루려는 사람이 고초 (苦楚) 를 겪는 모양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풍찬노숙 — 風餐露宿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餐 — 【찬】 먹다; 음식; 샛밥 (간식) ; 거두다; 저녁밥 (飡) 食부 7획 (총16획) [1] [v] eat; dine [2] [n] meal [3] [n] food 聖餐式 (성찬식) 예수가 못 박히던 전날, 그 제자들에게 빵과 포도주를 나누어 준 것을 기념하는 예수교의 의식. 尸位素餐 (시위소찬) 직책을 다하지 않고 자리만 차지하여 녹만 받아먹는 일. 風餐露宿 (풍찬로숙) 큰 뜻을 이루려는 사람이 고초 (苦楚) 를 겪는 모양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풍찬노숙 — 풍찬노숙【風餐露宿】 〔바람을 피하지 못하고 이슬을 맞으면서 먹고 잔다는 뜻〕 객지에서 겪는 많은 고생을 이르는 말. ; [예문] 선생은 평생 동안 우국 일념(憂國一念)으로 풍찬노숙을 마다하지 않았다 … 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